Ampeg(암펙) V4-B(70s) Review
Ampeg V4-B(70s) Review
요즘들어 부쩍 올드 빈티지 모델에 관해 관심이 많아졌다. 악기든 앰프든.. 사실 지금 현재 유명한 악기나 앰프관련 회사의 이름을 보면, '명성' 이라는게 대부분 70년대쯤 생산된 모델이나 그 이전에 생산된 모델에 대한 좋은 평가로 인한 것이 많다. 때문에 현재에도 나름 인기가 있다 싶은 것도 그 시절 제품을 모델로한 리이슈 제품이고말이다. 그 중 가장 관심이 많았던 모델은 뭐니뭐니 해도 60년대말과 70년대까지 생산되었던 Ampeg 의 SVT 오리지날 진공관 앰프. 현재 생산되는 제품으로는 Ampeg-VR(Vintage Reissue) 이 나와있고, 이 제품에 대한 평도 굉장히 좋기 때문에 슬쩍(?) 땡겼으나.. 지금은 공장이 베트남으로 이전되어, made in Vietnam제품만 나올 뿐더러; 개인적으로 하이엔드급의 전자기기 제품의 중국을 비롯한 동남아시아쪽 생산제품에 대한 혐오감 때문에 보류.. 뭐 이건, 단순히 개인적인 의견일뿐이고; 하이엔드급은 본사에서 관리를 제대로 하기 때문에 중국이든 어디든 제품의 차이는 크게 없을거라 생각된다. 어떠한 제품이든 그것이 made in China 혹은 그 외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, 그것을 관리하는 쪽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. 왜 같은 made in China 제품인데.. 우리나라에서 파는 것과 일본에서 파는 것의 질이 차이가 나는지는 바로 그 이유니까. 자, 그럼 다시 돌아와서 SVT 오리지날은 가끔 이베이에 올라온다. 가격은 적게는 1000달러에서 2500달러까지 다양하다. 아무래도 관리적인 부분이 중요한데.. 올드 캐비넷까지 포함된 가격이라면, 가격은 더 올라간다.
사실 직접 들어보진 못했지만 그것에 대한 명성을 토크베이스(http://www.talkbass.com) 에서 충분히 확인할 수 있었고,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베이시스트들이 현재까지도 애용하는 제품이기도 하다. 하지만, 현재의 내 자금사정상 절대 살 수 없는 가격이다. 가끔 올라오는 것만 눈요기로 볼뿐...
AMPE V4-B 를 알아보다.
하모니센트랄 (http://www.harmony-central.com) 이나, 토크베이스(http://www.talkbass.com) 에서 긴 정보싸움끝에 알아본 V4-B. 사실 이 제품에 대해 잘 알지 못하였고 이베이에 SVT 를 알아보던 중 올드모델로 보이는 제품이 2개가 연달아 올라왔었는데, 그것이 V4-B 였고 이것이 알아보게 된 계기였다. 가격은 처음보았을 때 200달러대였으나 실제 거래되는 가격은 500달러선이며, 나는 580달러에 구입하였다. 이 제품에 대해서 미국인들의 반응을 보자면, 자신이 좋아하는 진공관 앰프 중에 최고거나 SVT 다음이다라는 사람들이 많았다. 참고로 이 제품은 100와트 헤드인데, SVT 와 같은 300와트 였다면.. SVT 만큼의 제품이 아니었나 생각이 된다.
먼저, 내것 같은 경우는 1976년도에서 1979년도 사이에 생산된 제품으로 추정이 된다. (나보다 오래살았다-;;제품생산년도에 대해서는 밑에 따로 적어놓겠다.) 인풋은 2채널의 풀진공관 100와트 앰프 헤드이다. 무게는 대략 70파운드가 되어보이며(배송비 30만원ㅠ) 암펙의 예전 70년대 중기의 올드모델들의 디자인과 같은 은색패널의 모습. 밑에 사진에서와 같이 맨 왼쪽에 2개의 인풋잭과 5개의 노브가 있는데, 처음 2개는 각 채널의 게인 그리고 트레블,미들,베이스의 순서로 노브가 달려있다. 패널위에 살짝보이는 하얀색의 부스트 스위치는 High frequency boost, a three-position Mid-range boost that emphasizes 300Hz, 1kHz, and 3kHz, and Bass boost 이렇게 순이다. 마지막으로 스탠바이와 파워스위치. (약간 더 오래된 모델에는 앞면에 전기극성 스위치도 있다.)
앰프 뒷면은 어떨까??
처음 이 앰프의 뒷면을 보게된다면, 샤시가 진공관을 거꾸로 매달게 하는 형식으로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. 뭐 왜 이렇게 해놓는지는 자세한 내막은 모르나, 추측하기로는 예전 앰프의 일반적인 방식으로서 앞면의 컨트롤 패널을 위쪽에 배치하기 위해 거꾸로 뒤집은 형식이 된 것 같다. 보통 이렇게 하거나, 아니면 거꾸로 달지 않고 전선을 따로 빼내어 앞면 패널에 연결하는 방식이 있다. (연습실에 있는 SVT-CL 이 그러한 방식이다.)
두개의 10k Ohm 의 라인 아웃의 잭이있고, 2개의 스피커로 가는 잭과 8옴,4옴,2옴의 험 발란스를 조정하는 부분도
있다. 또한, 안에 들어가는 진공관의 이름도 프린트 되어있다. 이 앰프는 7027a 의 진공관을 파워로 이용하는데, 7027a 진공관은 80년대 중기에서부턴가 생산되지 않고 있었다. 이러한 이유때문에 많은 V4-B 유저들이 진공관을 다시 배치할시에 6L6 진공관을 사용하였다. 내 앰프는 7027a 가 그대로 들어가있다. 게다가 최근에는 7027 진공관이 Sovtek 에서 재생산되고 있기때문에 나중에 교체할 때에도 오리지날 그대로의 소리에 접근할 수 있을 것 같다.
프리앰프에는 2개의 12AX7 과 1개의 12AU7, 12DW7, 6K11 의 진공관이 들어가있다. 12DW7 에 주목할 만한 것은 이것은 SVT 오리지날에 들어가는 진공관인데, 현재 리이슈된 모델이나 최근 암펙에 모델에는 오로지 12AX7이나 12AU7 만 들어가있다.
자.. 그럼 소리는??
아직, 집에서 마야44로의 다이렉트 연결밖에 하지 못하여, 확실하게 말할 수는 없겠다. 또 어디까지 주관적인 내용이기 때문에.. 무엇보다도 풀 진공관앰프는 파워까지 사용해야 제맛을 낼 수 있지 않은가? 뭐 이부분은 빨리 연습실에 가져가서 810e 와의 조화를 들어봐야 알겠지만, 다이렉트연결에서의 들리는 소리는 일단 만족이다. 내가 5pro 와 클래식을 다이렉트로 연결했을 때나, 파워 그대로를 사용했을 때의 불만이 하이에서 마음에 안드는 중간중간 튀는 소리가 났다는 점. 스피커에서 들려오는 소리는 괜찮은 것 같은데... 다이렉트로 연결하면 실망한 적이 많았다. (적어도 내 ESP 에서는..) 그러나, 이 앰프 그러한 부분에서는 상당히 만족스럽다. 조금 다른점은 베이스를 부스트 했을 때, 생각보다 크게 부스트가 되어버린다는 점. 그리고 중요한게 100와트라는 것이 중요한데- 연습실에 있는 클래식같은 경우는 300와트라 불륨을 조금만 올리면, 밑에서 내려올 정도로 컷기 때문에 쉽게 불륨을 올리지 못했다. 아는사람은 알겠지만, 진공관앰프의 불륨을 못올린다는 것은- 진공관 앰프 쓰는 의미가 없어진다. 어느정도 게인을 주었을 때에 나오는 살짝 드라이브가 걸린 소리와 함께라면 더더욱이 내가원하는 사운드에 가까워질텐데 클래식에서는 그걸 못했다.;; 그러나 이건 100와트! 어느정도 게인을 줄 수 있다는 것이고, 그 만큼 파워진공관을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다. 아무래도 밴드 녹음시에 이 앰프를 활용할 듯 싶다. 일단 대만족이다!
------ Bonus ---------
암펙 생산년도에 관한 내용을 적어놓자면..
자세한건 이쪽이고 -> http://users.aol.com/bluemuse/dating.html 여기서 일부분을 발췌해 보자면..
Blue control panel graphics (파란색의 콘트롤 패널 구분선) |
1968 - 1972 |
Black control panel graphics with square corners (검은색의 콘트롤 패널 구분선과 선의 각 모서리가 사각으로 되어있는 것) |
1972 - 1975 |
Black control panel graphics, horizontally split with rounded corners (solid state amps) (검은색의 콘트롤 패널 구분선과, 그것이 수평으로 분리되어 그려져 있으며 각 모서리가 둥글게 되어있는 것) 솔리드(트랜지스터) 앰프 |
1973 - 1979 |
Black control panel graphics, horizontally split with rounded corners (tube amps) (검은색의 콘트롤 패널 구분선과, 그것이 수평으로 분리되어 그려져 있으며 각 모서리가 둥글게 되어있는 것) 진공관 앰프 |
1976 - 1979 |
Distortion control knob (디스토션 콘트롤 노브) |
1976 - 1979 |
White rocker switches (solid state amps) (흰색의 로커 스위치) 솔리드(트랜지스터) 앰프 |
1973 - 1979 |
White rocker switches (tube amps) (흰색의 로커 스위치) 진공관 앰프 |
1976 - 1979 |
Black rocker switches (검은색의 로커 스위치) |
1968 - 1975 |
Metal "a" logo (금속으로 된 a 로고) |
1968 - 1972 |
Plastic "a" logo (플라스틱으로 된 a 로고) |
1973 - 1979 |
* 내 앰프는 검은색으로 된 콘트롤 패널이 수평으로 분리되어있고, 각 모서리가 둥글게 처리된 76~79 사이에 만들어진 것... 로커 스위치도 흰색이다. ( 덧 붙여서 파워스위치는 70년대 초기 모델은 핀 스위치 타입이다. )
'4 음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단순 근황 (0) | 2009.01.26 |
---|---|
Analog man Bi-Comprossor pedal 과 Juicer Compressor Pedal (6) | 2008.11.25 |
엇?? The verve 재결합했었어?-;; (0) | 2008.09.28 |
Ampeg 220v 에서 120v 로 만들기!!!!!!!! (2) | 2008.09.17 |
Furman AR1215 와 rexer vxr800d , vx801 를 주문하였다. (1) | 2008.09.03 |
댓글
이 글 공유하기
다른 글
-
단순 근황
단순 근황
2009.01.26 -
Analog man Bi-Comprossor pedal 과 Juicer Compressor Pedal
Analog man Bi-Comprossor pedal 과 Juicer Compressor Pedal
2008.11.25 -
엇?? The verve 재결합했었어?-;;
엇?? The verve 재결합했었어?-;;
2008.09.28 -
Ampeg 220v 에서 120v 로 만들기!!!!!!!!
Ampeg 220v 에서 120v 로 만들기!!!!!!!!
2008.09.17